티스토리 뷰

728x90

[Day 03] 파이썬 기초문법 2

 

1. 강의 복습 내용

1) Python Data Structure

더보기

 

 

2) Pythonic Code

더보기

 

 

2. 피어 세션

더보기

오늘의 피어세션은 전날에 부여된 과제 총 리뷰, 금일 강의 내용에 대한 토의 및 리뷰, 자체 미션 문제풀이 해설 및 금일 추가 미션 7문제 리뷰로 이루어졌다.

먼저 과제에 대한 리뷰로는, 구현 난이도는 크게 어렵지 않았지만 사소한 실수가 나왔던 부분에 대해 공유하고 다음엔 실수하지 말자는 의미에서 다시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강의에 대한 토의 내용으로는 조원 모두가 공감했던 부분이 Generator 개념에서, 생각보다 난해하고 어려웠던 부분이라 코어타임이 끝나고도 다시 개별적으로 공부해서 다음날 피어세션에서 다시 의견을 나누기로 하였다.

그밖에도 강의에 나왔던 예제의 범주에서 더 나아가 '이런 코드도 작동할까?' 하는 생각으로 다양한 코드들도 같이 실행하고 결과에 대해 토의를 했었다.

 

그리고 피어세션 자체 BOJ 문제풀이를 진행하고있는데, 어제 부여된 6문제에 대해 각자 다 풀어보고 소스 비교도 해보고, 더 좋은 코드가 있는지 살펴보면서 각자 피드백을 해보기도 했으며 모르는 부분을 어떻게 해결했었는지 공유도 했었다. 또 오늘로 추가된 7문제들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강의내용과 연결시켜 풀수 있는 방법을 집고 넘어가고 각자 오늘도 코어타임 이외에 개별적으로 풀어서 팀 깃허브에 업로드할 예정이다.

 

또 오늘은 피어 세션 시간을 제외하고도 17시부터 조교님과 온라인 미팅을 가졌으며, 이 시간에 조교님께서 AI에 대해 공부해나갈 방향 그리고 노하우, 그 밖에도 현업 기준으로 알려주시는 AI 분야에서 중요한 부분, 내가 갖추어야할 경쟁 전략 등 많은 좋은 정보들을 공유해주셨다. 직접 현업 기준에서 알려주시는 정보라 더욱 더 새겨듣고 동기 부여가 되었던 유익한 시간이였다. 

 


 

 

3. Conclusion

더보기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 그리고 Pythonic Code를 배웠다. 

그리고 파이썬에 대해 공부하면서 느끼는점은 왜 요즘 Python을 배우는지 알것 같았다. 예를 들면, deque 자료구조도 원형으로 연결된 Linked List로 사용하기 쉽게 구현되어있고 스택, 큐, deque 모두 제공하면서 인덱스로 접근도 가능할 뿐더러 pop()함수는 인자로 인덱스를 집어넣으면 그부분만 빠져나온다. 사실 이러한 부분은 C++을 사용할때는 직접 구현해야했었는데, 왜 인간의 시간을 아끼려면 Python을 사용하라는지 와닿았던 부분이였다.

 

게다가 List Comprehension은 파격적으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세상에 리스트(배열) 선언과 동시에 for문을 통해 값도 집어넣을 수 있다니, 이것이 단 한줄로 가능하다니. 빨리 익숙해져서 자유롭게 사용하고 싶다.

 

오늘 강의에서 배운 내용 중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피어세션에서도 의견을 나누었지만, Generator 부분이였다. 난생 처음보는 개념이였고 메모리적 성능과 관련이 있는 스킬이라 빅데이터, AI에서도 굉장히 많이 쓰인다고 한다. 아직 이해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따로 더 깊게 공부하고 구글링을 통해서든, 토의를 통해서든 완전히 내것으로 만들고 넘어가야 나중에 고생을 안할것 같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